고령층 주도 일자리 증가…보건·복지 분야 ‘성장’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소폭 증가한 가운데, 보건·사회복지 분야가 전체 일자리 증가를 사실상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 중심의 고용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우리 사회의 인구·건강 구조 변화가 일자리 지형에도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18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수는 2095만개로 1년 전보다 11만1천개 증가했다.
그러나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 폭(25만4천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며, 올해 1분기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증가 폭이다.
연령대별로는 고령층 증가가 두드러졌다.
60세 이상 일자리는 23만5천개 늘어 전체 증가분을 사실상 상쇄했으며, 30대(7만6천개), 50대(1만5천개)도 증가했다. 반면 29세 이하 청년층은 13만5천개 줄었고, 40대 역시 8만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고령층 고용 확대와 청년·중년층 감소가 격차를 벌이는 구조는 고용시장뿐 아니라 의료·복지 수요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업종별로 보면 내수 부진의 직격탄을 맞은 건설업이 14만1천개 줄며 모든 업종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제조업(-1만3천개), 정보통신(-1만2천개), 부동산(-4천개)도 감소세가 이어졌다.
반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은 13만4천개 증가해 전체 일자리 증가분 대부분을 차지했다.
고령 인구 확대와 돌봄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의료·복지 분야의 일자리조차 ‘성장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협회·수리·개인 서비스(3만개), 전문·과학·기술(2만8천개)도 증가세를 보였다. 숙박·음식업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5천개 늘며 회복 흐름을 보였다.
보건·사회복지 일자리의 증가는 단순한 업종 확대를 넘어, ▲고령층 돌봄 증가 ▲의료·요양 수요 확대 ▲취약계층 지원 강화 등 보건의료·복지 영역이 국가 고용 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히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고용 전문가들은 “고령층 일자리 확대와 보건복지 분야 중심의 증가세는 향후 지역 의료 인력 수급, 돌봄 인프라, 사회서비스 산업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청년층 고용 둔화와 함께 사회·보건 시스템 전반에 균형 있는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