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과 치매, 조기 청력 관리가 답이다

도움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
  • 구재회 기자
  • 발행 2025-09-03 15:29


난청, 치매의 ‘수정 가능한 위험 요인’

외래에서 자주 듣는 말이 있습니다.
“소리는 들리는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이는 단순히 볼륨 문제만이 아닙니다. 청력이 저하되면 뇌는 말을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하고, 그만큼 기억·주의·집중에 쓸 여력은 줄어듭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귀 자극이 줄면서 청각피질과 뇌 네트워크의 활성도가 낮아지고(신경가소성 저하),
-같은 대화를 이해하는 데 더 많은 뇌 자원이 필요해지며(인지 부하 증가),
-대화 피로로 모임을 피하다 보니 사회적 고립과 우울이 심화됩니다.

소음 노출, 흡연, 운동 부족, 고혈압·당뇨 같은 혈관 위험 요인도 난청과 치매에 동시에 작용합니다. 결국 난청이 심할수록 치매 위험이 높아지는 ‘용량–반응’ 경향이 여러 연구에서 관찰되고 있습니다.

국제 권고 역시 난청을 가장 개입 가능한 위험 요인으로 지목합니다. 결론은 분명합니다. 중년부터의 청력 관리가 곧 뇌 건강 관리라는 사실입니다.

조기 청력 관리, 인지저하를 늦춘다

그렇다면 개입했을 때 실제로 무엇이 달라질까요? 최근 연구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보청기·인공와우 사용군은 비사용군보다 인지저하·치매 위험이 낮다는 결과가 다수의 연구와 메타분석에서 보고되었습니다.
-무작위 대조시험(RCT)에서는 전체 평균 효과가 크지 않게 보일 수 있지만, 인지저하 고위험군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확인됐습니다.
-인공와우 역시 말지각 개선뿐 아니라 일부 연구에서 인지 기능 지표 호전이 함께 보고되었습니다.

핵심은 “조기 개입”입니다. 청력을 오래 방치할수록 뇌 네트워크의 ‘사용 부족’ 변화가 누적되기 때문에, 늦게 시작해도 효과는 있지만 빨리 시작할수록 재활이 수월하고 체감 효과가 커집니다.


특히 우울·사회적 고립·혈관 위험이 동반된 환자일수록 조기 개입의 우선순위는 더 높습니다.


▲ "난청은 치매의 가장 개입 가능한 위험 요인으로, 중년부터의 청력 관리가 곧 뇌 건강 관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상에서 바로 적용할 실천법

-50대부터 기준 청력검사: 지금의 청력 상태를 기록해 두면 변화 추적이 용이합니다.
-“들리지만 뜻은 모호”할 때 상담: 시끄러운 곳 대화 어려움, 말이 뭉개져 들림, TV 볼륨 분쟁이 대표적 신호입니다.
-보청기: ‘맞추고–연습하고–매일 오래 쓰는’ 기기입니다. 착용 시간을 서서히 늘리고, 청능재활(듣기 훈련)을 병행하면 어음 분별력과 집중력이 좋아집니다.
-인공와우(CI): 보청기로도 대화가 어려운 경우 강력한 옵션입니다. 수술 안전성과 효과는 다수 연구로 입증됐습니다. 중요한 것은 수술 후 꾸준한 착용·맵핑·재활입니다.
-뇌 건강 기본기: 사회적 연결 유지, 규칙적 운동, 충분한 수면과 영양, 금연, 소음 관리가 청력과 인지 건강에 모두 이롭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빠른 답

-보청기를 쓰면 귀가 더 나빠진다? → 사실이 아닙니다. 적절한 피팅은 오히려 뇌의 청각 회로 활성화에 도움을 줍니다.
-나이가 많아도 의미가 있을까? → 있습니다. 특히 위험군에서 효과가 더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한쪽만 안 들리면 그냥 둬도 될까? → 권장하지 않습니다. 한쪽 난청도 대화 이해·소리 방향 감지·사회적 참여에 큰 영향을 줍니다. 양측 균형이 뇌에 더 유리합니다.

오늘, 한 가지를 시작하세요

난청은 단순히 소리의 문제가 아닙니다. 뇌와 삶의 질의 문제입니다. 중년부터의 정기 청력검사, 맞춤형 보청기·재활, 필요 시 인공와우까지 할 수 있는 일은 많습니다.

거창한 결심보다 중요한 것은 오늘 작은 시작입니다.


“빨리 시작해서, 매일 오래 듣기.”


이것이 뇌를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청각 전략입니다.



[프로필] 최병윤 교수

최병윤 교수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연구기획센터장과 임상유전체의학과 겸무교수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기기산업학과 실무담당교수로 교육·연구·산업 연계를 이끌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학과, 석사, 박사)을 졸업한 뒤 서울대병원 임상강사, 국립중앙의료원 이과, 미국 NIH NIDCD 연구원 등을 거쳐 2010년부터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2019년부터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와 대한소아이비인후과학회에서 학술이사, 총무이사, 기획이사, 공보이사, 재무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아시아태평양소아이비인후과학술대회(APPOS 2025 Seoul) 사무총장을 맡고 있습니다. 국제 학술지 CEO(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부편집장으로도 활동하며 활발한 연구 성과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학술상(2024), 과학기술우수논문상(2021), 선도연구자상(2018)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임상, 연구, 학회 활동을 아우르는 대표적 청각·이비인후과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