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보건복지 종사자 성희롱·성폭력 지원 협력 확대

보건복지부가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의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상담체계 강화를 위해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와 협력에 나선다.
복지부에 따르면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는 약 329만 명으로 전체 산업 종사자의 11.3%를 차지하며, 이 가운데 여성 비율은 81.6%에 달한다. 여성 전체 취업자 중 20.7%가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 분야는 소규모 기관·사업장이 많고 재활 치료, 방문형 돌봄, 재가요양 등 특수한 근무 환경으로 인해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겪더라도 참고 넘어가는 문화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고용노동부의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 여성가족부의 ‘여성긴급전화 1366’과 협력해 상담사들이 보건복지 분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번 협력은 9월부터 적용된다.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는 직장 내 성희롱·고용상 성차별 피해 등 권리구제를 위한 상담을, 여성긴급전화 1366은 성폭력·스토킹·가정폭력 등 여성 폭력 피해자에 대한 긴급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복지부는 올해 사회복지 분야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을 시작으로 보건의료, 장기요양, 사회서비스 등 분야별 상담사 교육 콘텐츠를 지속 제공할 계획이다. 추가 협력 분야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임호근 복지부 정책기획관은 “보건복지 종사자 성희롱·성폭력 상담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등과 지속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