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에서 수족구병 의심 사례 늘어

  • 이효정 기자
  • 발행 2023-05-19 10:55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수족구병 의심 증상을 보이는 사례가 영유아(0~6세)에게서 증가하고 있다. 한 달 전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
질병관리청이 전국 109개 의료기관의 수족구병 표본을 감시한 결과다. 4월 9~15일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환자 4명에서 5월 7~13일 13.8명으로 3.45배 증가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감염돼 입속에 물집이 잡히거나 손, 발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질환이다.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설사·구토 등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3~7일 잠복기를 거쳐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감염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전파될 수 있고,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 감염될 수도 있다. 전파 위험이 높은 장소는 감염자가 있는 가정, 보육시설, 놀이터, 병원, 여름캠프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이다.

증상 발생 후 7~10일이면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드물게 수막염, 뇌염, 심근염, 마비 증상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날 땐 신속히 의료기관에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6개월 미만 영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한 사람 △이틀 이상 열이 나는 등 증상이 심각한 사람은 반드시 의료기관 진료를 받아야 한다.

올해는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유사한 수준의 수족구병 유행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족구병은 백신,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과 전파 차단이 중요하다. 치료는 해열진통제로 증상을 완화하고 수분 보충으로 탈수를 막는 등의 대증요법을 시행한다. 아이에게 해열제로 아스피린을 먹여선 안 된다. 뇌, 간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라이증후군 발생 위험이 있다.

수족구병이 의심될 땐 병의원 진료를 받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발병 후 1주일 정도는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 컵이나 식기 등은 따로 사용하고 생활공간 분리도 필요하다. 기침을 할 땐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야 한다.


수족구병을 예방하려면 위생관리가 중요하다. 외출 후, 식사 전후, 기저귀 뒤처리나 쓰레기 취급 후, 화장실 사용 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를 한 후, 환자를 돌본 후, 반려동물 접촉 및 먹이를 준 후 등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아야 한다.

환자가 만진 물건을 소독할 땐 염소 0.5%(5000ppm)를 뿌려둔 뒤 10분 후 물로 씻어내면 된다. 소독을 할 때나 소독 후에도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 한다. 소독 시에는 장갑, 마스크, 앞치마를 착용하고 소독액 근처에는 가연성 물질을 두지 않아야 한다. 소독 후에는 비누를 이용해 흐르는 물로 30초 이상 손을 씻도록 한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