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약 먹을땐 ‘이 과일’ 금물…약·음식 궁합은
고혈압약, 자몽·포도·레몬 몸에 안 좋아
우울증약 먹고 있다면 커피·술 끊어야
제산제 섭취 때 오렌지주스는 금지

고령층 가운데 ‘혈압약’을 복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혈압약을 먹을 땐 자몽·바나나·토마토 등을 피하는 게 좋다. 자몽에는 ‘나린진’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는 간이 약을 분해하는 데 어려움을 준다. 약의 대사 속도가 느려지면 약물 농도가 높아져 권장 복용량보다 많이 먹은 상태가 돼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자몽과 비슷한 포도·레몬·라임도 조심해야 한다. 또 바나나와 토마토에는 칼륨이 들어 있는데 혈압약은 체내 칼륨 농도를 높여 칼륨 과다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칼륨 과다증이 생기면 근육이 약화하고 심혈관에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만약 ‘우울증약’을 먹고 있다면 커피나 술은 끊어야 한다. 우울증약을 복용하는데 커피를 마시면 카페인이 중추신경을 자극해 불안감과 긴장감이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알코올은 오히려 우울증 증상을 악화할 수 있다.

‘항생제’를 먹을 땐 요구르트와 우유를 마시면 안 된다. 항생제는 장내 유익균까지 죽일 수 있어 이를 걱정하고 유산균이 있는 음료와 먹는 일이 더러 있다. 알려진 것과 달리 요구르트와 우유에 들어있는 칼슘이 항생제와 결합해 유익균 흡수를 오히려 방해하게 된다. 항생제 복용이 끝난 후 요구르트와 우유를 먹는 게 좋고, 만약 필요하다면 2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먹어야 한다.
속쓰림을 다스리는 ‘제산제’를 먹을 땐 오렌지주스를 조심하자. 오렌지주스의 산 성분이 위를 자극할 수 있고 복통·설사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변비약을 먹을 때는 우유를 먹으면 안 된다. 변비약이 알칼리성인 우유와 만나면 변비약의 보호막을 손상해 약물이 대장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면 약효가 떨어지거나 복통을 일으킬 수 있다.
알레르기약을 먹을 때는 과일주스를 피한다. 자몽주스, 오렌지주스, 사과주스 등은 위산을 분비하는 효과가 있어 알레르기약 성분의 흡수를 방해해 약효가 저하될 수 있다. 또 골다공증약을 먹고 있다면 커피, 콜라, 홍차를 자제하자. 신장의 칼슘 배설을 증가시켜 골다공증에 좋지 않다. 특히 탄산음료는 인이 다 들어 있어 골다공증약과 함께 먹으면 쥐약이다.
영양제는 되도록 우유·커피·술·탄산음료와 함께 먹지 않도록 한다. 가끔 물을 꺼내기 귀찮다고 눈앞에 있는 음료와 약을 먹는 일이 있는데 이는 간에 부담을 주거나 효과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