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천식 환자를 위한 지원 절실

27일 한국 알레르기 협회, '세계 전식의 날' 기념 간담회 개최
중증 천식환자를 위한 지원 확대 및 대책 마련 등 논의
  • 이효정 기자
  • 발행 2023-04-28 11:20

27일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는 ‘세계 천식의 날’ 기념 간담회를 개최하고 중증 천식 환자 지원 확대를 위한 대책 마련 등을 논의했다. 천식 환자는 기관지가 좁아진 상태여서 조금만 뛰거나 공기중에 먼지가 많아도 쉽게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겪는다. 기관지 안에 염증이 발생하여 점막이 부어 호흡 곤란, 기침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반적으로 천식 환자의 약 90%는 흡입형 스테로이드제로 염증을 줄여 증상을 완화한다. 이 약제는 몸에서 99.9% 분해돼 위험성이 거의 없다. 반면 환자 중 약10%를 차지하는 중증천식 환자의 경우, 흡입형 스테로이드제로 증상을 완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구 스테로이드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경구 스테로이드제는 불안함, 피로감, 우울증, 면역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다. 고혈압이나 당뇨 등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성도 크다. 이러한 부작용을 알면서도 약을 먹을 수밖에 없는 중증 천식 환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보험 급여 적용 등의 조치가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전문의들은 중증 천식 환자가 겪는 부작용 등을 소개하며 이들 환자에 대한 의료복지·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중증 천식 유병률이 꾸준히 늘고있는 상황도 우려했다. 국내 중증 천식 환자는 2002년 3.5%에서 2015년 6.1%까지 늘면서 중증 천식 환자는 6만8000여 명으로 집계됐다. 현재는 약 7만 명의 중증 천식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천식기구(WHO)에 따르면 전체 천식 중 중증천식 유병률이 6.1%로 보고되고 있어 국내 중증천식 환자는 이 기준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건강보험 청구 자료로 분석한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중증 천식 유병률은 6.1~10%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중증 천식은 일반 천식보다 연간 외래방문 횟수 약 3배, 연간 입원 횟수 약 2배, 외래 비용 약 3배, 약제비용 약 9~10배가 많다.
경구 스테로이드제 사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중증 천식 환자의 50% 정도는 경구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달리 캐나다, 호주, 유럽 국가 등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보험이 적용되며 미국, 일본처럼 민간보험이 활성화된 나라에서도 부분 급여가 허용된 상태이다.
물론 부작용이 적은 생물학적 제제(생물을 재료로 만든 의학용 제제)를 사용한 대체 약물은 이미 개발됐다. 그러나 국내에선 국민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지 않아 약제비 부담이 크다.

일반적으로 중증 천식 치료에 쓰일 수 있는 생물학적 제제는 총 4종이다. 약마다 차이는 있으나 한 달에 100~200만 원의 비용이 든다.
따라서 중증 천식 치료제가 보험급여 적용을 받아 환자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고 편하게 숨쉬는 기회가 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패널 토의에서도 천식 환자를 일반, 중증 등으로 구분하고 중증 천식 환자의 치료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패널 토의에서 참여자들은 “천식은 호산구성 천식, 알레르기성 천식 등 발병 기전이 다양하므로 환자 상태에 알맞은 치료제를 사용하도록 세계보건기구나 국내 진료 지침 등에서 권고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알레르기 천식에만 사용 가능한 '오말리주맙'만이 급여권에 있을 뿐, 중증 천식에 대한 치료가 제한적인 실정”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국내 천식 입원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약 2배, 천식으로 인한 연령 표준화 사망자 수는 미국이나 일본보다 약 3~4배”라며 “국내 중증 천식 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한 만큼 환자들의 질병 부담과 생물학적 제제 비용효과성을 충분히 고려해 조속한 급여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