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냄새'로 알 수 있는 건강의 신호

어떤 사람에겐 왜 나쁜 냄새가 나는 걸까?
  • 김연주 기자
  • 발행 2023-01-27 17:39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냄새는 주변 사람을 불쾌하게도 만들지만 어떤 경우엔 기분을 상쾌하게도 한다. 병을 알리는 경보 역할도 한다. 따라서 냄새를 알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냄새를 맡는 공간 후각상피에서 냄새 성분을 분석하고 이것이 전기신호로 바뀌어 뇌에 전달한다.
그런데 언어와 관련된 왼쪽 대뇌는 후각과 거의 관련이 없고 생존본능과 관련된 ‘뇌의 변연계’가 후각을 주관한다. 이 때문에 냄새는 말로 표현하기 힘들고 잘 상상하지도 못하는 것이다.

후각의 진화
사람이 가장 먼저 맡는 것은 어머니의 양수 냄새. 이 때문에 아이는 초기에 양수 냄새와 비슷한 버터 냄새를 좋아하지만 썩은 계란을 앞에 갖다 두면 울상이 된다. 또 태아 때 자주 맡은 변 냄새에 대해서는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아이는 자라면서 냄새에 대한 선호도가 조금씩 바뀌며 사춘기 때
변한다. 특히 소녀들은 냄새에 아주 민감해지며 따라서 사춘기 딸의 방에 좋은 방향제를 갖다 놓는 것만으로 딸의 정신건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성인이 돼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후각능력이 훨씬 뛰어나다.

인체의 악취 중 암내는 겨드랑이의 아포크린 땀샘에서 나온 땀을 세균이 지방산과 암모니아로 분해하기 때문에 생긴다.

보통 사춘기에서 생기기 시작하고 폐경기 뒤에는 없어지는데 흑인 백인 황인종 순으로 많다.

발냄새는 에크린 땀샘에서 나온 땀이 분해돼 생기는 이소발레릭산이 주범. 둘 다 증세가 가벼울 경우 항생제가 든 비누와 로션을 쓰면 냄새를 줄일 수 있다.

또다른 악취, 방귀는 사람이 하루 평균 13번을 내뿜는다. 하루에 배출되는 가스량은 사람마다 달라 200∼1500㎖이고 소리의 크기는 항문 주위의 해부학적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질병의 신호
동양인은 서양사람에게 노린내가 난다고 말하지만 서양인은 아시아인이나 에스키모에게서 비린내가 난다고 말한다. 이는 건강한 사람의 공통적 특징이다.

병에 걸리면 이와는 다른 독특한 냄새가 난다. 장티푸스에 걸리면 갓 구어낸 갈색빵 냄새, 결핵성 림프선염에 걸리면 김빠진 맥주 냄새가 난다. 디프테리아 환자는 달콤한 냄새, 당뇨병 환자는 아세톤냄새를 풍기며 녹농균 감염증에 걸리면 포도냄새, 파상풍은 사과 썩는 냄새가 난다.

따라서 몸에서 냄새가 나면 얼른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