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최신기사
  • 뉴스
  • 오피니언
  • 기획특집
  • 건강정보
  • 추천영상
  • 실버케어
  • 뉴트리션
  • 지역소식
UPDATA : 2025년 07월 05일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최신기사
  • 뉴스
  • 오피니언
  • 기획특집
  • 건강정보
  • 추천영상
  • 실버케어
  • 뉴트리션
  • 지역소식
  • HOME
  • 기획특집

기획특집

'찜통더위'에 내 몸이 보내는 위험 신호는?

땀이 나는 것은 당연하며, 극심한 피로를 호소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사진=셔터스톡]주말 동안 34도가 넘는 기온이 넘나들면서 냉방시설 없이는 더위를 이겨낼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됐다.여름에는 야외에서 즐기는 행사나 스포츠가 많다 보니 이처럼 무더위가 지속되면, 건강에 큰

기획특집 정동묵 기자 2023-07-03 10:18

'장마철' 꿉꿉한 날, 습도 낮추는 방법

제습기가 집에 없다면 꿉꿉한 여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사진=셔터스톡]장마가 시작돼 집 안의 습도가 극도로 높아졌다. 빨래는 마르질 않고, 방바닥은 끈적하고 옷가지들은 축축하다. 제습기와 에어컨을 펑펑 돌리면 좋지만, 그럴 상황이 아니라면? 제습기가 집에 없다면 눅눅한 여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선풍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6-30 10:58

해외여행 계획한다면 ‘말라리아’ 주의해야

말라리아는 백신이 없기 때문에 여행 지역에 맞춰 예방약을 선택야 한다 [사진=셔터스톡]지난 2일 국내에서 올해 첫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되는 등 말라리아 환자가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엔데믹 속 해외 여행객이 증가하고 국내에서도 주요 말라리아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환자가 늘고 있다. 말라리아는 열원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6-29 12:19

건강해보이는 구릿빛 피부가 '위험한' 이유

강한 자외선은 노화의 주원인으로 피부 탄력을 저하시키고 기미와 잡티, 잔주름까지 만든다. [사진=셔터스톡]휴가철 야영지에서 보이는 매끈한 구릿빛 피부, '건강하고 있어 보여서' 동경의 대상이 되곤 한다.하지만 피부 전문가들은 구릿빛 피부가 위험하다고 입을 모은다. 강한 자외선은 노화의 주원인으로 피부 탄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6-27 12:59

고온다습 여름철, OO도 식중독 원인이 될 수 있다

식중독 예방 위해 과일이나 채소는 세척용 제품에 5분 이상 물에 담가 씻어야 한다 [사진=셔터스톡]전국적으로 장마가 시작됐다. 많은 비와 무더위가 이어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는 우리 몸에 유해한 유독물질 및 미생물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성·독소형 질환인 식중독을 주의해야 한다.식품의약품안전처가 운영하는

기획특집 김연주 기자 2023-06-26 14:51

더운 여름에도 "동안 지키는 비법"

노화의 정도는 피부 혈색으로도 금방 알 수 있다. 얼굴 혈색을 나타내는 헤모글로빈과 멜라닌 색소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사진=셔터스톡]지금 내 피부 나이는 실제 내 나이와 같을까? 주름 관리법과 피부 나이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함께 알아보자.손등 꼬집어보기손등을 꼬집어보면 피부 나이를 쉽게 알 수 있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6-23 11:37

하루에 커피 2~3잔, 몸속의 ‘OO’ 낮춘다

커피에는 다양한 항산화 및 항염증 성분이 들어있어, 하루에 2~3잔의 커피를 즐기면 염증 감소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셔터스톡]더운 날씨, 시원한 아메리카노만한 음료가 또 있을까? 커피는 상당한 양의 카페인이 포함돼 있어 자연적인 에너지 부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중추신경계를 자극해 주

기획특집 정동묵 기자 2023-06-19 00:41

‘예민한 성격’ 축복일까, 저주일까?

예민한 성격은 양날의 칼이다. 통제하지 못하면 병이지만, 잘 다스리면 얼마든지 재능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셔터스톡]최근 자칭 '예민러'들이 늘었다. 이들은 사람을 대할 때도, 음식을 먹을 때도, 사회생활을 할 때도 자신이 정해놓은 틀을 벗어나면 미간을 찌푸린다. 예민한 성격은 양날의 칼이다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6-13 13:45

다가온 휴가철, 최소한의 노력으로 살 빼는 방법

체중 감량은 누구에게나 어려운 도전이다. 그러나 매일 헬스장을 가지 않아도, 다이어트 도시락을 싸들고 다니지 않아도, 최소한의 노력으로도 어느 정도 체중을 줄일 수 있다.올바른 식습관과,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체중 감량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으로도 건강한 몸매를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6-09 11:29

몸 속 독소 배출에 도움 주는 '특급식품'

독소는 몸에서 산소나 각종 영양소가 대사되는 과정이나 체내로 들어온 세균에 의해 만들어진다. 우리 몸에도 독소가 쌓이면 피로, 소화 불량 등이 생기고, 염증을 유발해 혈관과 장기를 손상시킨다. 또한 독소를 제거하지 않으면 만성 피로 증후군을 비롯해 장 질환, 피부 질환, 암을 유발하는 등 다양한 질병의

기획특집 김연주 기자 2023-06-05 15:10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증상…과호흡 증후군 원인은?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증상인 ‘과호흡 증후군’ 또한 스트레스의 한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사진=셔터스톡]‘만병의 원인은 스트레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스트레스는 신체 건강에 큰 악영향을 준다.특히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을 경우 몸에서 이상 반응이 일어나기도 하며, 오랜 기간 지속되면 질환으로 나타

기획특집 김연주 기자 2023-06-05 11:18

사망률과 발병률 모두 높은 폐암, 주요 원인은?

▲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암 사망률 1위는 폐암으로 나타났다. [사진=셔터스톡]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 원인 통계 자료에 따르면 암 사망자는 8만 2천여 명으로 집계됐다. 암 사망률을 살펴보면 10만 명당 폐암은 36.8명, 간암은 20명, 대장암 17.5명, 위암 14.1명, 췌장암 1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6-05 11:00

해마다 늘어나는 유방암 환자

[핑크리본은 유방암인식개선의 표지이다. 사진=게티이미지 뱅크]사회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과거에 비해 풍요롭게 살고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바뀐 것이 식습관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쌀 소비량이 줄고 밀 소비량이 높아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서구화된 식습관은 많은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5-26 12:00

하얗게 잠 못 이루는 검은 밤의 손님, 불면증

[사진=게티이미지뱅크]건강한 삶을 사는데에는 여러 조건이 필요하지만, 생활 속에서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은 잘 먹고 잘 자는 것이다. 먹는 것이 우리를 이루는 기본이 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먹는 것으로 몸에 에너지를 주었다면, 잠은 몸 안의 장기들을 쉬게 하고 에너지를 재생하고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5-24 13:39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병, '저장장애'

[사진=게티이미지뱅크]지난달, 인천 계양구는 저장강박 의심 가구 지원조례'를 통과 시켰다. 그러나, 이미 계양구는 2012년 부터 비슷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역시 같은 달, 부산 남구에서는 '저장강박 위기세대' 환경 정비에 나섰다. 충주시도 마찬가지로 저장강박증 세대를 위해 환경개선에 나섰다. 과거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5-12 16:54

  • 11
  • 12
  • 13
  • 14

최신기사

뉴스

국립대병원 중심의 지역의료 연구 생태계 활성화에 3년간 약 500억 원 투자

2025-07-04 16:50
뉴스

바이오헬스 창업기업 투자유치 지원

2025-07-04 16:44
지역소식

경기도, 중대시민재해 대응 강화를 위한 실무자 교육 실시

2025-07-04 16:32
지역소식

경기도, 1인가구 병원 동행 서비스 1만7천여 건 제공

2025-07-04 16:21
뉴스

당분간 무더위와 열대야 이어져… 야간에도 온열질환 주의 필요!

2025-07-04 16:11

기획특집 인기기사

  • 1 장마철 심해지는 관절의 통증을 완화 하는 방법은?

매체소개

  • 매체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케어저널 | 업체명 : HNT콘텐츠허브(주) | 등록번호 : 경기, 아53363 | 등록일자 : 2022년 08월 08일 | 발행일자 : 2022년 08월 29일
발행인 : 최태용ㆍ편집인 : 오혜나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매화로44 조일빌딩 5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태운 | 대표전화 : 031)708-2801,2802

헬스케어저널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2 healthcarejourn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