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남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질병청, '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 예정
항생제는 장내 미생물과 밀접한 관련 남용하면 다른 질병에 영향
필요한 만큼, 적절한 시기에 복용
질병관리청에서 수행한 '2022년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 결과 많은 국민들이 세균 감염질환이 아닌 경우도 항생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등 항생제의 용도에 대래 약 74%가 잘못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나 의료인 모두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여 18일 부터 일주일간 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질병청은 16일 밝혔다.
항생제는 꼭 필요한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이고 유용한 약이 되지만, 남용할 경우에는 독이 된다. 장내 미생물과 관련이 있어서 소아비만 위험을 높이고, 성인의 경우에는 당뇨병, 치매, 알츠하이머병, 그리고 폐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아이들이 감기 증세가 지속되어 병원을 여러 차례 방문하게 되면, 보통 항생제를 먹게 된다. 한 때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남용이 문제가 되어 이에 대한 주의가 환기되고 관련 전문가들이 양성되면서, 최근에는 항생제 처방이 좀 줄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항생제는 병의원에서 가장 흔하게 처방되는 약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특히 소아에서 열감기 증세가 있을 때 항생제를 먹어야 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다. 대략 세균성 인후염, 중이염, 부비동염, 세균성 폐렴, 이 4가지 질환이 진단되었을 때에만 항생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세균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니라 단순 바이러스 감염일 경우에는 반드시 항생제를 써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항생제 남용은 항생제 내성균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럼에도 소아환자의 보호자의 경우, 항생제를 미리 복용하는 것이 세균 감염 위험을 줄인다고 믿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균성 인후염은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목감기이며, 이것은 전체 인후염의 5~10%를 차지하고 특히 5세 미만에서는 잘 발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5세 미만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목감기(인후염)에서는 항생제가 필요 없고, 해열제와 감기약 등의 보존적인 치료와 충분한 휴식 및 영양공급만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중이염과 부비동염은 바이러스성 감기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대부분이 세균성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가 필요하다. 기침, 콧물, 열 등이 일반적인 감기 때와는 달리 오래 지속되고 증상이 심할 때 귀내시경이나 부비동 X-ray 등을 통해서 이 질환들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고, 이 질환들이 진단되었을 때는 적절한 항생제를 적절한 용량으로 적절한 기간 동안 투여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중이염과 부비동염을 일으키는 균들은 비교적 내성이 강한 편이기 때문에, '고용량 오구멘틴 요법'을 중이염에서는 7~10일, 부비동염에서는 10~14일 동안 시행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저용량 오구멘틴 요법을 시행하거나 다른 항생제를 투여할 때, 투여 기간이 짧을 때에는 치료에 반응을 안 하거나 자주 재발 할 가능성도 있다.
폐렴은 영유아 및 소아에서 비교적 흔한 질환 중 하나인데, 대부분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므로 항생제가 필요치 않다. 그러나 X-ray 소견 상 넓은 부위를 침범하거나 물까지 차는 등의 심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 세균성 폐렴이 의심되며 이 때 항생제가 필요하게 되는데, 대개 매우 심한 경과를 보이므로 입원 하여 정맥 항생제를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원인이 되는 세균은 주로 폐렴구균이고, 최근에는 이에 대한 예방접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예전에 비해서는 이러한 세균성 폐렴이 많이 줄었다.
한 편 좀 더 나이가 많은 아이들에서는 마이코플라스마라고 하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단계쯤으로 여겨지는 세균에 의한 폐렴이 잘 발생하는데, 이 균은 보통 마크로라이드라고 하는 경구 항생제에 잘 반응하므로 외래 차원에서 조절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만약 아이가 열감기가 오래되어 병의원을 다니고 있는데 항생제가 처방되었다면, 위 4가지 경우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확인해 보셔도 좋습니다. 위 4가지 이외의 경우에 항생제가 처방되는 경우에는 그 근거가 매우 미약하므로, 항생제 사용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성인도 항생제 남용을 주의해야 한다. 항생제를 남용은 장내 미생물균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장에 존재하는 유익한 장내 미생물균이 항생제로 인해 손상을 입으면 유익하지 않은 균이 증식한다. 이러한 불균형이 우리 몸의 소화 과정 및 물질대사 과정에도 나쁜 영향을 끼쳐 결국 비만을 유도하고 당뇨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생제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적응증에 맞게 적절한 기간동안 신중하게 처방되어야 하며 항생제 과다 남용을 경계해야 한다. 항생제느느 꼭 필요할 때에 정해진 기간 동안 복용하는 것이 현명한 질병 대비 전략이다.
일반인이나 의료인 모두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여 18일 부터 일주일간 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질병청은 16일 밝혔다.
항생제는 꼭 필요한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이고 유용한 약이 되지만, 남용할 경우에는 독이 된다. 장내 미생물과 관련이 있어서 소아비만 위험을 높이고, 성인의 경우에는 당뇨병, 치매, 알츠하이머병, 그리고 폐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아이들이 감기 증세가 지속되어 병원을 여러 차례 방문하게 되면, 보통 항생제를 먹게 된다. 한 때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남용이 문제가 되어 이에 대한 주의가 환기되고 관련 전문가들이 양성되면서, 최근에는 항생제 처방이 좀 줄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항생제는 병의원에서 가장 흔하게 처방되는 약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특히 소아에서 열감기 증세가 있을 때 항생제를 먹어야 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다. 대략 세균성 인후염, 중이염, 부비동염, 세균성 폐렴, 이 4가지 질환이 진단되었을 때에만 항생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세균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니라 단순 바이러스 감염일 경우에는 반드시 항생제를 써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항생제 남용은 항생제 내성균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럼에도 소아환자의 보호자의 경우, 항생제를 미리 복용하는 것이 세균 감염 위험을 줄인다고 믿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균성 인후염은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목감기이며, 이것은 전체 인후염의 5~10%를 차지하고 특히 5세 미만에서는 잘 발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5세 미만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목감기(인후염)에서는 항생제가 필요 없고, 해열제와 감기약 등의 보존적인 치료와 충분한 휴식 및 영양공급만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중이염과 부비동염은 바이러스성 감기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대부분이 세균성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가 필요하다. 기침, 콧물, 열 등이 일반적인 감기 때와는 달리 오래 지속되고 증상이 심할 때 귀내시경이나 부비동 X-ray 등을 통해서 이 질환들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고, 이 질환들이 진단되었을 때는 적절한 항생제를 적절한 용량으로 적절한 기간 동안 투여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중이염과 부비동염을 일으키는 균들은 비교적 내성이 강한 편이기 때문에, '고용량 오구멘틴 요법'을 중이염에서는 7~10일, 부비동염에서는 10~14일 동안 시행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저용량 오구멘틴 요법을 시행하거나 다른 항생제를 투여할 때, 투여 기간이 짧을 때에는 치료에 반응을 안 하거나 자주 재발 할 가능성도 있다.
폐렴은 영유아 및 소아에서 비교적 흔한 질환 중 하나인데, 대부분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므로 항생제가 필요치 않다. 그러나 X-ray 소견 상 넓은 부위를 침범하거나 물까지 차는 등의 심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 세균성 폐렴이 의심되며 이 때 항생제가 필요하게 되는데, 대개 매우 심한 경과를 보이므로 입원 하여 정맥 항생제를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원인이 되는 세균은 주로 폐렴구균이고, 최근에는 이에 대한 예방접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예전에 비해서는 이러한 세균성 폐렴이 많이 줄었다.
한 편 좀 더 나이가 많은 아이들에서는 마이코플라스마라고 하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단계쯤으로 여겨지는 세균에 의한 폐렴이 잘 발생하는데, 이 균은 보통 마크로라이드라고 하는 경구 항생제에 잘 반응하므로 외래 차원에서 조절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만약 아이가 열감기가 오래되어 병의원을 다니고 있는데 항생제가 처방되었다면, 위 4가지 경우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확인해 보셔도 좋습니다. 위 4가지 이외의 경우에 항생제가 처방되는 경우에는 그 근거가 매우 미약하므로, 항생제 사용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성인도 항생제 남용을 주의해야 한다. 항생제를 남용은 장내 미생물균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장에 존재하는 유익한 장내 미생물균이 항생제로 인해 손상을 입으면 유익하지 않은 균이 증식한다. 이러한 불균형이 우리 몸의 소화 과정 및 물질대사 과정에도 나쁜 영향을 끼쳐 결국 비만을 유도하고 당뇨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생제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적응증에 맞게 적절한 기간동안 신중하게 처방되어야 하며 항생제 과다 남용을 경계해야 한다. 항생제느느 꼭 필요할 때에 정해진 기간 동안 복용하는 것이 현명한 질병 대비 전략이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