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17개 시‧도와 2026년 예산안 논의
아동수당·돌봄 서비스 확대 전망

보건복지부가 17개 시‧도와 함께 2026년도 보건복지 주요 예산안과 정책 과제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9월 5일 오전 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차 중앙-지방 보건복지 정책협의회’는 이스란 제1차관이 주재했으며, 복지부 주요 국장들과 전국 시‧도의 담당 국장이 영상으로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2026년 예산안의 주요 내용을 공유하며 지방자치단체가 미리 준비해야 할 사업들을 설명했다.
특히 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현행 만 8세 미만에서 만 9세 미만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이와 함께 의료·요양·돌봄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계획도 발표됐다.
또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먹거리 기본보장’ 사업을 새롭게 도입하고,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복지·돌봄 서비스 혁신을 추진하는 한편, 자살예방과 정신건강 대응 강화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됐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정책들이 현장에 제대로 안착하려면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각 시‧도의 의견을 직접 수렴한 이번 협의회는 중앙과 지방이 보건복지 분야의 현안을 사전에 조율해 시행착오를 줄이는 협력의 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스란 제1차관은 “새로운 변화가 차질 없이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지역을 총괄하는 시‧도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시‧군‧구까지 풀뿌리 보건복지 행정이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앞으로도 중앙-지방 정책협의회를 정례화해 국정과제를 포함한 보건복지 정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