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담배보다 안전하다더니”…전자담배 중독성 더 강력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 기상 후 5분 내 흡연 비율 '최고'
신종담배 맞춤형 금연 평가 도구 개발 필요성 제기

궐련형·액상형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니코틴 의존도가 더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담배업계가 ‘덜 해로운 대안’으로 홍보해온 이미지와 달리, 신종담배 역시 중독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이 드러난 것이다.
8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금연운동협의회가 진행한 ‘신종담배 확산에 따른 흡연 정도 표준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에 따르면 일부 니코틴 의존 지표에서 신종담배 사용자의 중독 수준이 일반 담배 흡연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만 20~69세 흡연자 800명(궐련 단독 400명,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다중사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니코틴 의존도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인 ‘아침 기상 후 첫 담배를 피우기까지 걸리는 시간’에서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사용자가 30.0%로 ‘5분 이내 흡연’ 비율이 가장 높았다.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26.0%, 일반 담배 사용자는 18.5%였다.
하루 흡연량 분석에서도 차이가 드러났다. 일반 담배 흡연자의 45.8%가 ‘하루 11~20개비’를 피운다고 답한 반면,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51.0%가 이 범주에 속했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10회 이하’가 63.0%로 가장 많았지만, 사용 방식이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현행 금연클리닉 등에서 사용하는 표준 평가 도구가 신종담배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기존 평가 도구는 개비 단위의 궐련 중심으로 설계돼 신종담배의 사용 횟수, 시간, 니코틴 농도 등을 고려하지 못한다”며 “신종담배에 적합한 새로운 표준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