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 30대부터 챙기면 중년 질환 70%↓

젊을 때부터 심혈관 건강을 꾸준히 관리하면 중년기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호규·하경화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지종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30대 심혈관 건강 수준이 중년기 주요 질환 발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2~2004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30세 성인 24만1924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흡연 ▲체질량지수(BMI) ▲혈압 ▲혈당 ▲혈중 지질 등 6가지 항목을 바탕으로 심혈관 건강 점수를 평가했다. 이후 10년간 누적 점수를 기준으로 5개 그룹으로 나누고 평균 9.2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분석 결과, 심혈관 건강 점수가 상위 20%(Q5)인 그룹은 하위 20%(Q1)보다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73% ▲신장질환 발생 위험 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근경색, 뇌졸중, 만성콩팥병 등 주요 질환은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등 공통된 위험 요인을 가진다. 이 요인들은 젊은 시기부터 누적되기 때문에, 성인 초기부터 종합적인 위험요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호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젊은 성인의 심혈관 건강을 장기 추적해 누적 관리 효과를 입증한 첫 연구”라며 “심뇌혈관질환 예방은 중·장년기 치료를 넘어 생애 전반의 건강관리 전략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AMA Car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