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오면 왜 심장부터 위험할까?…고령층 비상

도움말: 최규영 순환기내과 전문의
올가을 첫 한파특보가 발령된 가운데, 급격한 기온 하락이 심뇌혈관 질환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자와 심혈관계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한파 노출 시 치명적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4~2025절기(12월 1일~2월 28일)’ 동안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334명, 이 중 추정 사망자는 8명으로 집계됐다. 저체온증이 전체 환자의 80.2%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9.8%로 여성보다 약 2.3배 많았고, 65세 이상이 54.8%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사망자 중 65세 이상은 87.5%에 달했다.
한랭질환은 야외에서 주로 발생했다. 발생 장소는 ‘길가(25.4%)’, ‘집(18.3%)’, ‘주거지 주변(14.1%)’ 순이었고, 오전 시간대(6~12시)에 집중됐다. 새벽부터 낮까지 이어지는 급격한 기온 저하가 주된 위험 요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급추위가 혈압·심박수 상승, 혈액 점도 증가 등을 일으켜 심근경색과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한다. 찬 공기에 노출되면 말초혈관이 수축해 체열을 지키려는 반응이 나타나면서 심혈관계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최규영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순환기내과 전문의는 “저체온 상태에서는 심장·폐·뇌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자율신경계가 과도하게 자극받으면서 심혈관계에 더 큰 부담이 가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환자나 기존 심혈관 질환자들은 한파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져 위험성이 더욱 커진다.
급성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혈전 등으로 갑자기 막혀 발생하며, 뇌졸중(뇌경색·뇌출혈) 역시 혈압 상승과 혈관 수축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기존 관상동맥 협착이 있는 환자의 경우 한파 노출 시 증상 악화가 빠르게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심근경색 주요 증상은 ▲가슴 중앙의 압박감·쥐어짜는 통증 ▲왼쪽 어깨·팔·턱·목으로 뻗치는 통증 ▲호흡곤란 ▲식은땀 ▲어지럼증 ▲구토 등이다. 이러한 증상이 30분 이상 지속되면 즉시 응급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최 전문의는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을 갖고 계신 분, 또는 심혈관계 병력이 있는 분들은 한파에 노출되면 급성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치명적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파 시기에는 단순 보온뿐 아니라 생활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외출 시 여러 겹 옷차림으로 체온을 유지하고, 모자·장갑·목도리 등으로 말단 부위를 보호해야 한다. 아침 시간대 무리한 운동이나 작업은 피하고, 추운 환경에서 갑자기 활동량을 늘리는 행동도 위험하다.
전문가들은 “한파는 감기나 동상뿐 아니라 심장과 뇌혈관까지 위협할 수 있다”며 “고령자와 만성질환자들은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에 대비한 건강관리와 신속한 대응이 필수”라고 당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