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넣은 맥주가 무슨 문제?
Z세대 새 음주 문화 두고 상쾌함 vs 무지 논쟁

최근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틱톡을 비롯한 SNS에서 인플루언서들이 얼음을 넣은 맥주 영상을 잇따라 공개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상 속에는 ‘미켈롭 울트라’, ‘모델로’ 등 다양한 브랜드 맥주가 얼음 잔에 담긴 모습이 등장한다.
한 인플루언서는 멕시코식 라거에 라임 주스를 섞은 칵테일 ‘첼라다’를 소개하며 얼음을 넣는 장면을 보여주며 “맥주를 가장 상쾌하게 즐기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젊은 층 사이에서는 이런 방식이 점점 확산되는 분위기다. 영국의 한 소비자 조사에서 18~35세 응답자의 33%가 맥주에 얼음을 넣어 마신다고 답했으며, 35세 미만 응답자의 20%는 “맥주나 와인에 얼음을 넣어야 더 상쾌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통적인 맥주 애호가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SNS에는 “맥주에 얼음 넣는 건 절대 금기” “잔을 미리 얼려두면 충분히 시원하게 즐길 수 있다”는 비판 글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독일, 미국 등 전통적인 맥주 소비국에서는 맥주에 얼음을 넣는 행위를 ‘무지한 행동’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44%가 라거에 얼음을 넣는 사람을 ‘무지하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음 맥주를 옹호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무더운 날씨 속에서 시원한 음주 경험을 추구하는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이미 보편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다.
뉴욕의 미슐랭 스타 셰프 데이비드 장 역시 “얼음을 넣은 술은 맛있다”며 “사람들이 이를 꺼리는 건 단지 요리적 속물근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얼음을 넣은 맥주는 단순한 음용법을 넘어 세대와 문화 차이를 드러내는 상징으로 부상하고 있다. 맥주 한 잔에 담긴 얼음이 “상쾌함”의 상징일지, “무지”의 상징일지는 당분간 논쟁이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