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체중보다 뱃살이 문제…허리둘레 클수록 암↑”

고령층에서는 체중보다 복부 지방이 암 발생 위험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장수연 교수 연구팀(공동연구자 류혜진 교수·암연구소 강민웅 연구교수)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가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낮고 허리둘레가 클수록 위험이 커지는 상반된 경향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염증, 산화 스트레스, 인슐린 저항성 등을 유발해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BMI는 체성분 구성, 즉 근육과 지방의 비율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허리둘레는 복부 내장지방 등 대사적으로 유의미한 비만을 더 잘 나타내는 지표다.
이에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65~80세 한국인 24만7,625명을 대상으로 11년간 추적 관찰을 실시했다.
연구 대상자는 암 병력이 없는 노인이었으며, 2020년까지의 암 발생 여부를 분석했다. BMI와 허리둘레는 각각 4개 구간으로 나눠 암 발생 위험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평균 11.3년 동안 총 4만3,369건의 암이 발생했다. 이 중 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은 낮아졌고, 허리둘레가 클수록 암 위험은 높아지는 뚜렷한 반비례 양상이 확인됐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남성에서 더욱 두드러졌으며, 정상체중 범위(BMI 18.5~23) 내에서도 허리둘레가 큰 경우 암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장수연 교수는 “겉보기에는 정상체중이라도 복부 비만이 있으면 암 위험이 높을 수 있다”며 “노인의 높은 BMI는 체지방보다는 근육량 유지와 영양 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령층에서는 단순한 체중 조절보다 복부 지방을 줄이는 관리가 암 예방에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BMI와 허리둘레가 암 발생에 상반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라며 “향후 근육량과 체지방 분포를 포함한 체성분 분석을 통해 근육이 암 예방에 보호적 역할을 하는지를 추가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온콜로지(Frontiers in Onc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