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최신기사
  • 뉴스
  • 오피니언
  • 기획특집
  • 건강정보
  • 추천영상
  • 실버케어
  • 뉴트리션
  • 지역소식
UPDATA : 2025년 05월 14일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최신기사
  • 뉴스
  • 오피니언
  • 기획특집
  • 건강정보
  • 추천영상
  • 실버케어
  • 뉴트리션
  • 지역소식
  • HOME
  • 기획특집

기획특집

아픈 가족을 돌보는 '가족돌봄 청년 (Young Carer)'

[사진=게티이미지뱅크]2021년 5월, 대구에서 가족간 살해 사건이 일어났다. 22세 청년이 아픈 아버지를 간병하다 제대로 돌보지 않아 죽음에 이르게 한 사건이다. 사건 초기에는 뇌출혈로 거동이 불편한 아버지를 돌보지 않고 방치한 패륜적인 행위를 한 아들로 보도가 되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약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26 14:48

비만은 질병, 더 나은 삶을 위할 때

[사진=게티이미지뱅크]시간이 갈 수록 비만 인구가 늘고 있다. 건강관리와 운동이 대중화 된 요즘, 오히려 예전에  비해서 비만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비단 대한민국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적으로 비만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매우 오래된 이야기다. 이미 1996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장기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24 11:22

늘어나는 1인 가구, 삶을 들여다볼 때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우리나라의 가구 구조가 저출산·비혼으로 인해 1인가구, 비혼인 동거·경제적 주거 공유 등에 따라 비친족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가 우리나라 가구 구조의 향후 30년을 내다보는 장래가구 추계 모형을 개선하고 가구추계 발표 주기를 5년에서 2년으로 좁히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21 11:26

모두가 피곤한 피로사회, '만성 피로' 의 해법은

[사진=게티이미지뱅크]현대인에게 이제 피로는 함께 있는 친구와도 같다. 조금만 신경을 쓰거나 움직여도 금방 피곤하다. 이럴때는 누군가와 대화를 하는 것 자체도 피곤한 일이 된다. 늘 피곤하다보니 이제 현대 직장인들은 주말이 오기만을 기다린다. 잠을 좀 자면 피로가 풀리기 때문에 이틀동안 잠을 자야겠다고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19 11:40

예고 없이 찾아오는 불안, 공황장애

 [사진=게티이미지뱅크]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평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국민성은, 꽤 오랜동안 '정신병'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것을 쉬쉬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정신에 병이 드는 것은 몸에 병이 드는것과 다를 바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방송가에서 '공황장애' 등에 대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14 13:49

대한민국, 더 이상 '마약 청정국'이 아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대한민국은 한때 '마약 청정국'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에서도 알아주었다. 그러나 이제 10대 들도 인터넷을 통해 쉽게 마약을 구입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연예인, 유명인사들과 그 자녀들의 잇따른 마약 투약 소식과 최근 학원가에서 발생한 마약 음료 테러 사건까지, 마약은 어느덧 우리들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10 11:04

기계가 대신한 사람의 자리

 [사진=게티이미지뱅크]사소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 ARS가 전화를 받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 되었다. 어찌 보면, 시작부터 사람이 받기 보다는 ARS가 먼저 받아서 연결을 해 주고 가장 적정한 사람이 마지막으로 받아서 일을 처리해 주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러더니 이제는 조금 큰 기업에 서비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05 10:20

'MBTI' 얼마나 맞고 얼마나 틀릴까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우리나라의 MZ세대라 일컷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MBTI는 이미 대세를 지났다. 자신의 MBTI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이에 발이라도 맞추듯, 기업에서는 MBTI별로 사원을 뽑는가 하면, 결혼정보회사에서도 MBTI까지 살펴 커플을 매칭해 주기도 한다. 10,20대 들은 친구를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4-03 15:29

저출생 위기 대책의 실효는?

[사진=게티이미지뱅크]아이를 키우는 문제에 있어서 고전적으로 늘 하는 이야기가 있다.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에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 는 말이다. 막연하게 생각하기에 아이를 키우는 일은 정말 힘들구나, 많은 이들의 도움이 필요하구나..정도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조금만 시각을 달리해 이 말을 해석하면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3-29 11:52

'가난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

우리나라 연금 현황직장을 꾸준히 다니면서 국민연금에 가입해 연금을 부어 온 사람이라면, 퇴직 후 믿는 구석은 '국민연금'이다. 우리나라는 1999년 4월1일, 도시자영업자에 대해 국민연금제도가 확대되어, 전 국민 연금시대가 시작되었다. 국민연금은 생애 평균임금의 60% 수준의 급여율을 가지며 노령연금을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3-27 11:30

'가난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고령사회란, 65세 이상의 사람들이 전체 인구의 14% 이상 분포하고 있을 때 '고령사회'라고 한다. 고령사회가 가져오는 사회적 문제들은 어려가지가 있다. 사회의 노후화, 노인 일자리, 노인건강과 그에 따른 요양시스템..등등 의 문제들이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3-24 17:24

봄인데 산뜻하지 않은 하늘..황사와 미세먼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오늘부터 대중교통과 택시에서의 마스크 착용이 해제되었다. 날씨는 점점 따뜻해지고, 마스크를 벗고 나들이 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이러한 봄철의 나들이를 멈칫하게 하는 것에는 황사와 미세먼지가 있어 늘 건강에 주의해야 한다.매스컴에서 봄이 오면 주의하라고 계속하여 황사와 미세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3-20 11:23

약속을 잘 잊거나 물건을 잃어버린다면..'경도인지장애'단계부터 관리해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2017년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들어섰다. 유엔은 고령인구(만 65세 이상)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유한다. 우리나라가 '고령 사회'로 들어온 것은 '고령화 사회'로 들어온 2000년 으로부터 17년 만이다. 매우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3-17 15:01

힘든 봄을 보내게 하는 질환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이번 주를 시작하면서 잠시 꽃샘 추위가 왔나 싶더니, 다시 평년 기온을 회복했다. 몇 번의 꽃샘 추위가 있겠지만, 봄이 오는 것은 확연하다. 마스크도 해제되고, 이제 조금 더 자유롭게 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도 점심시간에 커피를 한 손에 들고 여유롭게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

기획특집 정동묵 기자 2023-03-15 14:07

꽃샘주위에 주의할 질병, 고혈압

[사진=게티이미지뱅크]'꽃샘추위'는 이른 봄철의 날씨가 꽃이 피는 것을 시샘하듯 일시적으로 추워지는 기상현상을 말한다. 이름은 누가 지었는지 참 예쁘지만, 우리 삶에 예쁜 추위는 아니다. 꽃샘추위는 꽃이 피는 계절인 봄에 온다. 절기가 바뀌고 봄이 오면서 옷차림이 점점 얇아지고 활동도 제법 하는 등, 추

기획특집 은현서 기자 2023-03-13 14:41

  • 11
  • 12
  • 13
  • 14

최신기사

실버케어

늙어가는 대한민국, 실버케어 육성 방법은?

2025-05-12 17:18
뉴트리션

대웅제약, 에너씨슬 플래티넘 메가 출시

2025-05-12 17:09
뉴스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 월드비전과 함께 ‘2025년 저소득 희귀질환아동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사업’ 실시

2025-05-12 17:09
지역소식

경상남도, 청소년 정서지원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운영

2025-05-12 17:07
지역소식

칠곡경북대병원, 광역 아동학대전담의료기관 지정

2025-05-12 17:07

기획특집 인기기사

  • 1 지속적인 피로, 만성 소화불량이 있다면 자율신경 이상 의심

매체소개

  • 매체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케어저널 | 업체명 : HNT콘텐츠허브(주) | 등록번호 : 경기, 아53363 | 등록일자 : 2022년 08월 08일 | 발행일자 : 2022년 08월 29일
발행인 : 최태용ㆍ편집인 : 오혜나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매화로44 조일빌딩 5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태운 | 대표전화 : 031)708-2801,2802

헬스케어저널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2 healthcarejournal. All rights reserved.